출처 : ko.wikihow.com/%EC%97%B4-%EB%82%B4%EB%A6%AC%EB%8A%94-%EB%B0%A9%EB%B2%95
체온을 재고 열의 온도를 정확하게 기술하기. 열이 나면 체온계를 사용해서 정확한 체온을 측정하면, 병원을 찾았을 때 더 유용한 정보를 의사에게 전달할 수 있다. 성인과 어린이의 경우 디지털 경구 체온계를 사용하면 정확하고 쉽게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. 디지털 체온계는 삑 소리가 날 때까지 혀 아래에 대어준 후 화면에 나타난 수치를 확인하면 된다. 유아의 경우, 항문 체온계를 사용하면 가장 정확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.[1]
- 체온이 38.0 °C 이상일 경우 병원을 찾는다. 2세 이상의 어린이와 성인의 경우 3일 안으로 열이 떨어지지 않으면 병원을 방문한다.[2]
- 3개월 미만의 영아일 경우, 38.0 °C 이상의 열이 측정되었다면 병원을 방문한다. 3-6개월 사이의 영아라면 39.0 °C 이상으로 열이 올랐거나, 하루 이상 열이 지속되면 병원을 찾도록 하자.
물을 많이 마시기. 열이 나면 땀을 많이 흘리면서 빠르게 탈수 증상이 나타나기 쉽다. 수분이 부족하면 열의 온도가 더 높아질 수 있으며, 두통과 어지러움, 근육 경련, 저혈압, 발작 등의 증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.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충분하게 수분을 보충해서 이런 문제점들을 예방해보자.[3]
- 유아의 경우 한 시간에 최소 30 ml의 물을, 그리고 걸음마를 하는 아이라면 60 ml를, 그리고 이보다 나이가 많은 어린이라면 90 ml의 물을 매시간 섭취할 수 있도록 해보자.[5]
의약품을 사용해서 열을 낮추기. 39 °C 이상의 열이 나타나거나 열로 인해 몸이 상당히 불편한 상태라면, 해열제를 복용해보자. 아세트아미노펜, 이부프로펜, 아스피린 등 열에 대항하는 일부 의약품들이 있다. 사용 설명을 준수해서 의약품을 사용하도록 하자.[9]
- 18세 이하의 어린이에게 아세트아미노펜을 주거나, 6개월 미만의 유아에게 이부프로펜을 투여해도 괜찮을지 의사와 상의해보자. 의약품은 사용 설명 방법에 따라 신중하게 사용한다.
- 뇌와 간이 부어오를 수 있는 질병인 라이 증후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의사가 권장하지 않은 이상 18세 어린이들은 아스피린을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.[10]
- 의약품의 사용 설명을 읽고 적정량을 사용하며, 한 번에 여러 의약품을 복용하지 않는다. 의사의 지시가 없었다면 이부프로펜을 한 번 복용하고 4시간 후에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하는 등, 의약품을 번갈아서 사용하지 않는다
헐렁하고 가벼운 옷 입기. 열이 날 때는 얇고 헐렁한 옷을 입어서 몸을 시원하게 해준다. 예를 들어, 가벼운 티셔츠에 편안한 운동복 바지를 입어보자. 밤에도 가벼운 이불을 덮고 잠을 청하는 것이 좋다.[11]
- 면, 대나무, 실크와 같은 천연 직물이 아크릴 혹은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인조 섬유보다 통풍이 잘 이루어진다.
실내 온도를 낮추기. 열이 있다면 시원하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실내 온도를 평상시보다 조금 낮춰보자. 온도가 높으면 열이 더 오래 유지되고, 과도하게 땀을 흘리면 탈수 상태로 이어질 수 있다.[12]
- 방안이 덥고 답답하다면 선풍기를 가동해보자.[13]
- 보통 실내 온도가 22 °C 정도에 머물지만, 온도계의 목표 온도를 20 - 21 °C 로 조정해보자.
미지근한 물로 스펀지 목욕하기. 욕조에 실온보다 살짝 뜨겁지만 체온보다는 낮은 29 - 32 °C정도의 온도로 물을 받아보자. 욕조에 앉아서 스펀지나 샤워 타월을 물에 적신 후 온몸을 닦아주면, 체온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.[14]
- 미지근한 물로 샤워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지만, 피부에 닿은 물이 증발하지 않기 때문에 체온을 낮추는 효과는 미미할 수 있다.
대한 실내에 있기. 가능하면 공기가 건조하고 온도가 크게 변하지 않는 실내에서 휴식을 취한다. 더울 때 밖에 나가야 한다면, 그늘에서 최대한 머물고 활동을 크게 제한한다. 밖의 온도가 낮다면,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에서 최대한 따뜻하게 옷을 입는다.
주의할 점
춥더라도 옷을 겹겹이 입지 않기. 열이 나면 오한이 찾아오는 경우도 있다. 하지만 오한이 발생하더라도 체온이 더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이불 속에서 머물거나 옷을 겹겹이 입는 것은 좋지 않다.[16]
- 피부와 주변 공기 온도의 차이로 추위가 느껴질 수 있다. 가벼운 이불로 신체를 둘러싸서 이런 오한을 막아보자
피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목적으로 소독용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기. 피부에 소독용 알코올을 바르면 시원함이 느껴질 수 있지만,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며, 중심 체온을 높여서 오한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.[18]
- 게다가 피부에 알코올이 흡수되면, 알코올 사용 장애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, 이런 증상은 특히 어린이와 유아에게 매우 위험하며, 혼수상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
아플 때 카페인과 알코올은 피하기. 카페인과 알코올 모두 탈수 증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. 열이 있을 때 탈수 상태에 빠지기 쉽기 때문에, 카페인과 알코올 사용이 매우 위험할 수 있다. 그러므로 상태가 호전될 때까지 이런 성분들은 피하도록 하자.[21]
- 알코올과 카페인이 수분을 앗아가기도 하지만, 면역 체계도 악화시켜서 신체 회복이 더뎌질 수 있다
병원을 찾아야할 시기
39–41 °C 사이의 열이 난다면 바로 응급실을 찾기. 고열은 매우 위험할 수 있다. 성인의 경우 체온이 39 °C 이상으로 올라가면 응급실을 찾아서 검사를 받아보자. 경우에 따라 내원을 하거나 처방 의약품을 사용해야 할 수 있다.[23]
- 3개월 미만의 유아라면, 심각한 감염의 신호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열이 나타났을 때 바로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.
- 3-12개월 미만의 유아에게 38 °C 이상의 열이 나타났다면 병원을 찾는다. 또한 2세 미만 유아의 열이 48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도 병원을 찾아야 한다.
- 7-12세의 어린이의 체온이 39 °C 를 넘어가면 응급조치를 받는다.
아이가 의식을 잃었거나, 쉽게 일어나지 않거나, 일주일 정도 열이 올랐다 떨어지기를 반복한다면, 현재 체온이 그리 높지 않거나 고열 증상이 사라졌더라도 응급실을 찾도록 하자. 또한 아이가 울 때 눈물을 흘리지 않는 등의 심각한 탈수 증세가 나타나는 경우에도 병원을 찾도록 하자.
열이 지속되면 병원을 찾기. 열은 질병에 대항하는 자연스러운 신체 반응이지만, 열이 계속되면 더 심각한 문제일 수도 있으니, 며칠이 지나도 열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병원을 찾아보자. 검사를 받은 후 의사가 응급 치료를 권하거나, 의약품을 처방해줄 수 있다.[25]
- 열이 48시간 이상 지속되면 바이러스 감염의 신호일 수 있으니 병원을 찾아보자.
열이 있는 동안 발진이나 멍이 보인다면 의사와 이야기를 나눠보기. 특별한 이유 없이 갑자기 피부에 발진이나 멍이 나타났다면, 병원을 찾아보자. 면역 체계와 관계있는 심각한 문제의 신호일 수 있다.[28]
- 발진이 악화되거나 곳곳으로 퍼지기 시작했다면, 응급실을 찾아보자.
- 통증을 동반하는 멍이 점점 커지거나 멍의 수가 늘어나면 심각한 질병의 신호일 수 있으니, 통증을 유발하는 멍이 많이 보인다면 병원을 찾도록 하자
'육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임신]베이비플랜 - 임신 전 준비 (0) | 2021.01.11 |
---|---|
[임신]베이비플랜 - 자연임신 (0) | 2021.01.10 |